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024 부처님 오신날 연등회

어쩌다가 이렇게 2024. 5. 7. 08:37

목차



    반응형

    부처님 오신날, 연등회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1. 부처님오신날의 의미

     

        석가모니 부처님은 룸비니 동산의 무우수 나무 아래서 탄생하셨습니다.
    태어나자마자 동서남북으로 일곱걸음을 걷고 난 뒤, 두 손을 하늘과 땅을 가리키면서 사자후를 외쳤습니다.
    "하늘 위 하늘 아래 모든 생명 존귀하다. 세계의 고통받는 중생들을 내 마땅히 편안케 하리라"
    (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이 외침은 장차 고통에 빠져 허덕이고 있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선언, 즉 고통의 바다에서 헤매고 있는 눈먼 중생들을 위하여 걸림 없이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의 방법을 제시하겠다는 선언인 것입니다. 부처님의 이러한 선언은 태자의 신분을 버리고 6년 간의 고행 끝에 부다가야의 보리수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은 후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다섯 비구를 상대로 법을 설함으로 시작하였고, 이후 45년 동안 인도 전역을 다니면서 중생들을 올바른 삶의 방향으로 인도하셨습니다.
    부처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 '붓다(Buddha)'를 따서 만들어졌으며, 깨달은 사람을 뜻합니다.

     

     

     

     

     

    2. 연등회의 역사

     

     

    인도 '가난한 여인의 등불 [貧者一燈]'                           

     

    등(燈)은 부처님께 공양하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등을 공양하는 의미는 번뇌와 무지의 어두운 세계를 부처님의 지혜로밝게 비추는 것을 상징합니다.
    현우경 빈녀난타품을 보면 부처님이 영취산에 계실 때의 일로밤을 밝힌 다른 등들은 다 꺼졌습니다. 하지만 난타라는 가난한 여인이지극한 서원과 정성으로 밝힌 등불만이 끝까지 밝게 빛나고 있었습니다.
    이것을 본 부처님께서
    "이 여인은 등불 공양의 공덕으로 성불할 것이다"
    라는 말씀이 있어 부처님 당시부터 등공양 풍습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라 '간등(看燈)'

     

    신라 경문왕 6년(866) 정월 15일과 진성여왕 4년(890) 정월 보름에 황룡사로 행차하여 연등(燃燈)을 보았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있습니다.
    '등을 보았다'라는 의미의 간등(看燈)은 1000여 년 전에 이미 사찰에서 등을 밝혀 연등회를 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연등회(燃燈會)'

     

    고려시대는 불교가 국교였던 시대였습니다.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에는 팔관회와 함께 연등회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남아 있고 연등도감을 설치하고 연등위장을 제정할 정도로 국가적인 행사로 치렀습니다.

    음력 정월 보름과 2월 보름에 국왕과 온 백성이 풍년을 기원하며 궁궐부터 시골까지 화려한 연등을 밝히고 잔치를 열고 가무를 즐겼습니다.
    왕이 행차했다가 돌아오는 가두행진의 길 양 옆에는 이틀밤에 걸쳐 3만개의 등불을 밝혀 불빛이 낮과 같이 밝았다고 합니다.

    고려사에 따르면 의종 20년(1166)에 백선연이 사월초파일에 등을 밝혔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종 32년(1245) 사월 초파일에 최이가 연등회를 열어 밤새도록 기악과 연희를 벌였다고 합니다.

     

     

     

     

    조선 '호기(呼旗)놀이, 관등(觀燈)놀이'

     

    조선시대의 건국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국가 주관의 연등회는 중지되었으나 민간에서는 민속행사로 남아 세시풍속으로 전승되었습니다.


    아이들이 종이를 잘라 등대에 매달아 기를 만들어 들고 장안을 돌아다니며 쌀이나 돈을 구하여 등을 만드는 비용으로 쓰던 호기놀이는 ​고려시대부터 이어져오며 성행하였고, 집집마다 장대를 높이 세우고 자녀의 수대로 등을 밝혔고, 거리 곳곳에 형형색색의 등을 달았습니다.


    밤에는 장안의 남녀노소가 등을 들고 나와 돌아다니고 불꽃 바다를 이루어 그 장관을 구경하는 관등놀이가 성행하였습니다.
    남산의 잠두봉에 올라가 연등을 내려다보는 것을 1년 중 가장 큰 구경거리로 여겼으며 운종가 관등은 서울의 열 가지 경치, 즉 경도십영 중의 하나로 유명하였습니다.

     

     

     

    근대 '시대적 흐름의 연등 풍습'

     

    매일신보(1915, 1917년)에 따르면, 다양한 강연회, 음악회 등 현대적인 문화행사의 형식으로 초파일 행사가 개최되었다는 보도로 보아, 시대에 따라 변화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초파일이 다가오면 갖가지 연등용 등을 만들어 종로 네 거리에 등시(燈市)가 섰다는 기사로 보아, 민간의 풍습은 이어졌습니다.

    해방 이후 연등행사 외에 법요의식, 강연회, 음악회 등의 다양한 문화행사가 이루어 졌으며 한국전쟁 이후 연등행사는 전국 각처와 사찰에서 활발하게 계승되어왔습니다.

     

     

     

    현대 '연등행렬, 연등회 연등축제'

     

    해방 이후 초파일을 세존강탄경축회에서 주관하여 자주독립을 기원하고자 탑골공원에서 초파일 건국재를 거행하였습니다.

    1955년 조계사 부근에서 제등행렬을 한 것이 현대 연등행사 시작이 되었으며, 1975년 사월 초파일이 국가 공휴일로 제정되어 더욱 많은 인원이 연등행사에 참여를 하였고, 1976년부터는 여의도광장에서 조계사(종로)까지 이르는 연등행렬을 하였습니다.

    1996년부터는 동대문운동장-조계사에 이르는 연등행렬을 비롯하여 전통문화마당, 어울림마당(연등법회), 회향한마당(대동한마당) 등으로 진행되어 고려나 조선시대와 마찬가지로 전국적인 국민축제로 전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1,200여 년 오랜 역사와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 전승하고 있는 연등회는 무형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2년 4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자발적인 공동체의 가치와 개개인의 창의성이 담긴 세대전승,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 · 배려 · 평등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2020년 12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습니다.

     

     

     

    3. 연등회 일정

         ♠연등행렬

     

              행사일정 및 장소안내

             

              행사일시         2024년 5월 11일(토) 오후 7:00~9:30

     

              행사장소        흥인지문~종로~조계사

     

              교통편           

                                 ⊙ 주요 장소 교통편 안내

                                     - 흥인지문 : 지하철 1,4호선 동대문역 9,10번 출구 앞 연등행렬 시작

                                     - 종로5 :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 1,4,5,8번 출구 앞

                                     - 종로3 : 지하철 1,3,5호선 종로3가역 1,2,10,11,12,13,14,15번 출구 앞

                                     - 종각 : 지하철 1호선 종각역 2,3,3-1번 출구 앞

     

     

     

     

     

    ♠전통등전시회

     

              행사일정 및 장소안내

             

              행사일시        장소별로 상이 (아래 교통편에서 확인)

     

              행사장소        청계천, 열린송현녹지광장, 광화문광장, 조계사, 봉은사

     

              교통편   

                         

                               ⊙ 청계천 (4/24 ~ 5/15)

                                   [지하철 이용시]

                                   1호선 종각역 하차 > 5번 출구로 나와서 청계천까지 직진

     

                                   [버스 이용시]

                                   간선버스 : 101, 150, 151, 162, 173, 201, 262, 501, 506, 702A, 702B, 705, 708, 7018

                                   지선버스 : 1711, 7017, 7018, 7021

        

     

                                ⊙ 열린송현녹지공원 (5/2 ~ 5/15)

                                    [지하철 이용시] 

                                    3호선 안국역 하차 > 6번 출구로 나와서 우측으로 직진

     

                                    [버스 이용시]

                                    간선버스 : 171, 272, 401, 406, 704, 710, 

                                    지선버스 : 7011, 7025, 8111 

     

                             

                                  ⊙ 광화문 광장 (5/9 ~ 5/15)

                                     [ 지하철 이용시 ]
                                      - 5호선 광화문역 하차 > 해치마당 연결통로, 7번출구 광장 방향

     

                                     [ 버스 이용시 ] 

                                    광역버스1000, 1100, 1200, 1900, 9701, 9703, M7106, M7129, 9714, 9709, 9710, 9710-1, G7111,                                                     M7111, M7154, 1004, 8600, 8601, G6005, M7119, 5000A, 5000B, 5005, 5500-2, 9000,                                                       9000-1, 9200, 9401

                                    간선버스101, 103, 109, 150, 160, 260, 270, 271, 273, 370, 401, 406, 470, 600, 601, 602, 606, 700,                                                   702A, 702B, 704, 707, 708, 720, 721, 741, N26, N37, N51, N75

                                    지선버스1020, 1711, 7016, 7018, 7019, 7022, 7212

                                    마을버스종로09, 종로11

                                    순환버스01(KT광화문지사 앞)

                                    공항버스6002

     

     

                                ⊙ 조계사 (4/24 ~ 5/15)
                                    [ 지하철 이용시 ]
                                    1호선 종각역 2번 출구 > 약 400미터 직진
                                    3호선 안국역 6번 출구 50m 직진 후 사거리 건너 왼쪽방향으로150m 직진
     

                                     [ 버스 이용시 ]
                                     간선버스​   109, 151, 162, 172, 401, 406, 606 704,

                                     지선버스  1020, 7022

     


                                ⊙ 봉은사 (4/28 ~ 5/15)
                                     [ 지하철 이용시 ]
                                     2호선 삼성역 6번출구 500m 직진 후 왼쪽방향으로 100m 직진 후 횡단보도 이용
                                     7호선 청담역 2번출구 600m 직진 후 오른쪽방향으로 100m 직진
                                     9호선 봉은사역 1번 출구
     

                                     [ 버스 이용시 ]
                                     간선버스​   143, 146, 301, 342, 343, 345, 401, 8146, 

                                     지선버스  2413, 2415, 3217, 3411, 3412, 3414, 4318

     

     

     

    ♠대동한마당(회양한마당)

     

              행사일정 및 장소안내

             

              행사일시        2024년 5월 11일(토) 오후 9:30~11:00

     

              행사장소         종각사거리

     

              교통편               

                                   종각사거리 교통편 안내

                                   [ 지하철 이용시 ]

                                   1호선 종각역

     

    반응형